본문 바로가기

현실 진단과 클리닉 강의

불신의 사회적 비용... 조선일보 김홍수 경제부 차장

 

 

 

 

2004년 여름 유럽 연수 시절, 가족과 함께 노르웨이에서 자동차 여행을 했다. 시골길을 달려가는데 길가에 체리 과수원에서 체리를 내다 파는 무인(無人) 판매대가 줄지어 나타났다. 한 봉지당 2유로(약 3000원)라는 안내판과 동전함만 있고 사람은 없었다. 한 봉지 사면서 동전함을 힐끗 보니 동전과 지폐가 가득했다.

우리나라에서도 시골길을 가다 보면 농민이 참외, 수박 등을 내다 파는 광경을 자주 보게 되는데, 무인 판매 방식은 상상하기 어렵다. '우리도 무인 판매로 운영할 수 있다면 그 시간에 다른 일을 해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을 텐데….'

2011년 5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2018년 동계올림픽 후보지에 대한 평가회를 취재하느라 스위스 로잔에 갔을 때 겪은 일이다. 예약한 호텔에 체크인하니 종업원이 투숙객한테 제공하는 지하철 승차권이라면서 명함 크기 종이 카드를 꺼내선 유효기간을 볼펜으로 써 주었다. '최고 선진국에서 종이 카드에 수기(手記)라니….' 그런데 지하철을 이용해 보니 개찰구도, 역무원도 없어 카드를 내보일 일이 없었다. '이런 시스템이라면 요금 징수 시스템, 개찰구 같은 시설을 안 갖춰도 되고, 그 돈을 다른 데 투자할 수 있겠다….'

우리가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지만, 돈만 자본이 되는 게 아니다. 사회·문화 자본도 있다. 사회 구성원 간 신뢰는 사회자본에 속하고, 경제 자본과 달리 아무리 많이 써도 고갈되지 않는다(프랑스 철학자 부르디외의 주장). 미국의 정치사상가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신뢰'의 가치를 특별히 중시해서 "한 국가의 경쟁력은 한 사회가 고유하게 지니고 있는 신뢰의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고 했다.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5020클럽(인구 5000만명,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에 진입했다고 자랑하지만 신뢰 자본 면에선 아직 갈 길이 멀다.

신뢰가 없을 때 사회가 어떤 비용을 치르는가는 밀양 송전탑 사태를 보면 알 수 있다. 주민, 한전, 여야가 추천한 전문가들이 '전문가 협의회'를 구성해 40일간 연구 검토했고, 여러 전문가가 '우회 송전'과 '지중화(地中化)'는 기술적으로 어렵다는 결론을 제시했지만, 주민들은 보고서 내용을 불신하며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그 결과 내년 3월쯤 완공될 새 원자력발전소가 송전선이 없어 무용지물이 될 처지에 놓여있다. 40일 동안 공사가 중지된 데 따른 손해만 2800억원에 이른다고 한다. 이 돈을 신용불량자 구제에 쓰면 2만2000명(국민행복기금 신청자 1인당 부채액 기준)을 빚의 구렁텅이에서 탈출시킬 수 있다. 신뢰 자본을 쌓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후쿠야마가 '신뢰'에 대해 내린 정의에 답이 있다. "신뢰란 공동체에서 다른 구성원들이 보편적 규범에 기초해 규칙적으로 정직하고 협동적인 행동을 할 것이란 기대이다." 신뢰의 출발점은 구성원들이 법(최소한의 규범)을 지키는 것이다. 상식적 얘기라고 할지 모르지만, 상식이 존중되는 사회가 선진국 아닌가.

 

 

 

 

 

 

 

불신의 사회적 비용... 조선일보 김홍수 경제부 차장